해충정보

  • 바퀴벌레
  • 개미
  • 모기
  • 저곡해충
  • 기타해충

바퀴벌레

해가 갈수록 우리나라의 평균 기온이 올라가고 있는 만큼,
그 수가 비록 여러가지 경로에 의해 제거가 되고 있다 하더라도 줄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바퀴 암컷은 한 번의 교미로 정충을 보관하여 평생 8회 정도 산란하며, 암컷 한 마리가 1년에 10만마리까지 번식이 가능하다.
바퀴는 야행성이며 좁은 틈새에 몸이 눌리는 것을 좋아해 낮에는 주로 서식처에 숨어 지내며 초당 28cm을 이동할 정도로 빠르다.
또한, 집단으로 생활하며 동료의 사체나 배설물부터 사람의 타액 등 먹지 못하는 것이 없는 잡식성이다.
특히, 새로운 음식을 먹을 때 이전에 먹었던 반소화된 음식물을 토해내서 식중독 등 여러가지 전염병을 유발하기도 하고
천식이나 알러지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유아를 가해하거나 40여종의 병원균을 옮기는 위험한 해충이다.

경도바퀴

Asiablatta kyotoensis

특징

약충은 짙은 황갈색, 몸 가장자리를 돌아가며 투명한 황색 테가 존재하며, 성충의 체색은 옅은 황갈색이며 가장자리에 엷고 투명한 황색 테가 존재한다.

생활사

나무 그루터기

독일바퀴

Blattella germanica

특징

성충의 몸길이는 바퀴 중에 가장 소형이다. 체색은 암수 모두 밝은 황갈색이며 암놈은 약간 검다. 전흉배판(pronotum)에 두 줄의 흑생 종대가 있다.

생활사

불완전변태하는 곤충으로 암수 거의 동시에 성충이 되고 7~10일 내에 교미한다. 숫놈은 여러 회 교미하나 암놈은 일생을 통해 1~2회밖에 교미하지 않는다.

먹바퀴

Periplaneta fulginosa

특징

가주성 바퀴 중 미국바퀴 다음으로 큰 종 (30~38mm)으로 몸 전체가 광택있는 암색이며, 전흉배판에 아무런 무늬가 없고 매끈한 형태를 가지고있음.

생활사

성충의 수명은 1년 정도이며, 일생을 통해 20개 내외의 난협 산출하며, 미국바퀴와 마찬가지로 생성되는 즉시 떨어뜨려 은신처의 틈새에 붙여 놓아둔다.

미국바퀴

Periplaneta americana

특징

가주성 바퀴 중 가장 대형 (35~40mm) 전흉배판 가장자리에 고리모양의 황색 무늬가 있다. 유충은 적갈색이며 3령기부터 날개가 생기며, 성충은 복부 끝까지 덮는 완전한 날개가 생긴다. 약간의 활강이 가능하다.

생활사

성충의 수명은 1년이며 어둡고 따뜻하며 습기찬 곳을 선호한다. 하수구나 그 곳과 연결되어있는 지하실의 배수관 등을 좋아한다.

일본바퀴(집바퀴)

Periplaneta japonica

특징

중형 (20~25mm)의 바퀴로 몸 전체가 흑갈색이다. 수컷은 몸 전체가 약간 가늘고 날개가 복부 끝을 넘고 있다. 암놈은 몸이 약간 통통하고 날개가 짧아서 복부의 반만 덮고 있다.

생활사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야외에서 채집된 예가 없으나 일본에서는 주택 부근의 숲 속에서 서식하고 있어 반옥외성인 바퀴로 알려져 있고, 옥외서식 개체의 경우 겨울에는 동면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쥐는 한 쌍만 있으면 1년 후에 1,250마리로 번식이 가능하다.
0.7cm의 좁은 틈만 있으면 내부로 침입할 수 있으며 1km까지 수영을 할 수 있다.
주로 배관이나 배선을 이용하여 이동하며, 개체수가 늘어날 경우 경쟁에 의해 서식처를 새로운 곳으로 옮긴다.
이빨이 계속 자라므로 뭐든 갉는 습성이 있고 잡식성이지만 새로운 음식에 대한 경계심이 강하다.
쥐는 분변으로 음식물을 오염시키고 식중독 등의 전염병을 유발하며 유행성 출혈열, 랩토스피아, 서교열 등의 병원체를 옮기고
전선을 갉아 전기 합선사고로 인한 화재를 유발하기도 한다.

등줄쥐

Apodemus agrarius coreae

특징

등면의 체색은 적갈색이고 몸 아랫면은 회백색이며 등면의 검은 줄은 머리로부터 꼬리의 아랫쪽까지 달하였다. 꼬리는 몸길이보다 언제나 짧으며 굳은 털이 있다. 귀는 작아서 앞으로 접어도 눈에 닿지 못한다.

생활사

등줄쥐의 서식장소는 여러 가지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경지 및 황무지, 산밑, 산중턱, 산정상에 이르기까지 어느 곳에서나 과히 습하지 않은 곳이라면 살 수 있는 종류이다.

땃쥐

Crocidura suaveolens

특징

땃쥐는 눈이 아주 작으며 외이(外耳)도 작다. 두개골은 좁고, 코는 아랫입술을 덮고 있다.
26~32개의 이빨은 모두 영구치이며, 앞니는 길고 끝이 갈고리 모양이다. 땃쥐는 어느 것이나 작다.

생활사

땃쥐는 주로 육상생활을 하며 두엄층에서 지내나, 어떤 것은 지하에서 살고, 반 수중생활을 하거나 나무 위에서 지내는 것도 있다. 밤과 낮을 가리지 않고 활동적이며 주기적으로 휴식을 취하며, 주로 무척추동물들을 먹고, 해로운 곤충들을 방제하는 데 도움을 주며, 어떤 것은 식물이나 썩은 고기 등을 먹는다.

생쥐

Mus musculus

특징

생쥐의 털은 배면이 밝은 갈색이고 복면은 회색이다. 생쥐의 성체는 시궁쥐와 지붕쥐의 새끼와 일반적으로 형태가 유사하나 생쥐는머리에 비해 눈이 작고 귀가 크며 뾰족한 코를 가지고 있으며 발이 작고 꼬리도 날씬하다.

생활사

생쥐는 전방15cm 이상을 볼 수 없을 정도로 시력이 미약하교 색맹이나 후각, 미각, 청각, 각은 매우 민감하고 뛰어나다. 새로운 음식 및 물체에 대하여 호기심이 많으며 나무나 벽 등에 잘 기어 오를 수 있고 수영도 할 수 있다

시궁쥐

Rattus norvegicus

특징

가주성 쥐 가운데 가장크고 무거운 좋이다.털은 거칠고 무성한데 배면은 검은털이 섞여 있는 갈색이고 복면은 황회색이다.꼬리에는 짧은 털이 나있으며 위쪽은 어둡고 아래쪽은 엷은 색을 띠고있다.

생활사

시궁쥐는 시력이 미약하고 색맹이나 후각, 미각, 청각, 촉간은 매우 예민하게 발달되어 있다. 기어오르거나 도약을 할 수 있고 달리기, 수영은 매우 잘한다.잡식성이며, 수분 함유가 많은 음식에서 서식한다.

곰쥐(지붕쥐)

Rattus rattus

특징

지붕쥐 성체의 체중은 150 ~ 250g으로 시궁쥐 보다 약간 가볍고 동시에 날씬하다. 눈은 크고 돌출되어 있고 코는 뾰족하며 귀는 시궁쥐 보다 크며 거의 털이 없다.

생활사

지붕쥐의 경우 시력이 미약하고 색맹이나 후간, 미각, 청각, 촉각은 매우 예민하게 발달되어 있으며 식성은 잡식성으로 주로 과일, 견과류, 콩, 야채를 하루에 28g 섭취하고 30ml의 물을 먹거나 수분 함유가 많은 음식에서 취하기도 한다.

개미

한 구체당 수천~수십만 마리가 존재하며 생활환경이 변화하면 군체가 이동한다.
또한 주변환경이 안 좋아지면 즉시 이동하여 여러 곳에 새로운 군체를 형성하므로
살충제 등의 사용은 군체를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개미는 계절별 생활사에 따라 식습관리가 바뀌며 완벽한 사회생활로 군체를 형성한다.
개미는 음식물을 오염시키고 병원균을 매개하며 특히 천식이나 알러지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Created by potrace 1.15, written by Peter Selinger 2001-2017

애집개미

Monomorium pharaonis

특징

경절이 두마디이며 일개미들은 한가지 형태뿐이다. 몸체의 색깔은 황색 또는 적갈색에 가까우며 복부 끝에만 흑색을 띤다. 더듬이는 총12마디이며 끝마디가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한 군체당 수 천마리 ~ 수십만 마리이며 여황개미 한 마리가 1회에 10개정도의 알을 낳는다.

생활사

열대성 개미이므로 실내에서 생활하며, 실내의 벽이나 천정 틈새, 가구 속, 마루밑등 어둡고 따듯한 곳에서 서식하기를 좋아한다.

Created by potrace 1.15, written by Peter Selinger 2001-2017

유령개미

Tapinoma melanocephalum

특징

유령개미의 크기는 1.3cm ~ 1.6cm 입니다.머리부분과 가슴부분이 어두운 색이며 나머지 부위는 엷은 색깔이다.

생활사

주로 토양이나 구조물의 틈새나 구멍에 서식처를 만들며, 매우 유연한 서식습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외과뿐만 아니라 집안 내부에 틈새에서도 살 수 있어 애집개미와 유사한 상태적 습성을 사진 것으로 보고가 되고 있다.

Created by potrace 1.15, written by Peter Selinger 2001-2017

곰개미

Formica japonica

특징

일개미의 몸길이는 5mm정도이며 몸은 흑색내지 흑갈색이고 다리끝은 적갈색 내지 흑갈색 이다. 온 몸에 광택이 있는 회갈색 연한 털이 밀생하고 약간 센 털이 났다. 6월에서 10월 출현하는 흔히 볼 수 있는 종으로 여러가지 나무의 씨를 먹고 모무늬매미충의 유충도 잡아먹는다.

생활사

전국의 저지대와 산지의 밝은 곳에서 발견되며 주로 땅 속에서 서식하지만 가끔씩 풀이나 나무 밑에서도 서식한다. 주로 낮에 활동하지만 밤에도 활동하며 무덤 모양의 집을 풀잎을 모아 짓는 경우도 많이 있다. 집은 주로 수직적인 형태지만 깊이는 대락 1cm ~ 2cm정도이다.

Created by potrace 1.15, written by Peter Selinger 2001-2017

주름개미

Tetramorium caespitum

특징

일개미의 크기는 2.5cm ~ 4cm정도이며, 여왕개미는 대략 8mm정도이다. 몸색깔은 갈색 또는 흑색이며 두부와 흉부에 주름이 있다.

생활사

주로 인가 주변의 화단, 식품공장 주변, 산지의 건조한 풀밭, 공터 등에서 발견된다. 야외에서는 3월에서 11월 사이에 발견되며, 실내 유입종의 경우 연중 활동한다. 평균적으로 낮에 활동하며, 밤에는 서식지에 모인다.

모기

모기의 유충인 장구벌레는 물속에서 생활하며 성충이 되자마자 바로 교미를 한다.
주 활동시간은 종류별로 다르나 보통 초저녁과 이른 새벽이고 동물의 체취나 체온 등에 유인되며 수km까지 이동한다.
암컷은 대부분 산란을 위해 흡혈을 하나 지하집모기는 흡혈 없이도 산란이 가능하고,
 다른 종들은 월동을 하나 지하집모기는 월동을 하지 않는다.
모기는 뇌염이나 말라리아등의 전염병을 매개하며 흡혈로 인한 2차 오염(피부소양증 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Created by potrace 1.15, written by Peter Selinger 2001-2017

지하집모기

Culex pipiens

특징

성충은 4.5mm정도의 소형 모기로 천체적으로 암갈색을 띠며 뚜렷한 무늬가 없다. 다만 각 복절 기부 및 다리 각 절 끝에도 흰 띠가 있고 주둥이의 중앙에 넓은 백색 띠가 있으며, 이 띠로부터 기부로 내려가면서 복면에 백색 비늘이 산재해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생활사

지하에서 바로 채집한 첫 난괴당 난수는 48개 가량이며, 실험실 사육시는 평균 난괴당 난수는 116개가량이며, 좁은 공간에서도 교미 산란이 가능하다.

Created by potrace 1.15, written by Peter Selinger 2001-2017

작은빨간집모기

Culex pipiens pallens

특징

작은빨간집모기 성충은 4.5mm정도로 소형이며 전체적으로 암갈색을 띠며 뚜렷한 무늬가 없다. 주둥이의 중앙에 넓은 백색띠가 있으며, 이 띠로부터 기부로 내려가면서 복면에 백색비늘이 산재해 있는것이 큰 특징이다.

생활사

알의 부화기간은 약1일, 유충기 11~15일, 번데기 기간 1일내외로 약 15일간의 생활사 기간이 소요된다.유충은주로 논, 미나리꽝, 늪지대 등 비교적 꺠끗한 수질에서 서식하나 하수구 같은 오염된 물에서도 발생한다.

Created by potrace 1.15, written by Peter Selinger 2001-2017

중국얼룩날개모기

Anopheles sinensis

특징

중국얼룩날개모기는 흑색의 중형모기로 성충의 날개 길이가 4.5~5.0mm 내외로 2개의 흰반점, 2개의 어두운 반점이 있으며 촉수의 각 마디가 말단부에 좁고 흰 띠가 있다.

생활사

유충기 8~20일, 번데기 기간 2일 내외의 기간이 소요된다.유충은 주로 논, 배수구, 습지, 연못 등 깨끗한 대규모 발생원에서 발생하나, 빗물, 고인웅덩이, 수조 등에서도 발생한다.성충으로 겨울을 나고, 숲이 우거진 장소에서 귀며, 이른 봄부터 늦가을까지 계속 발생한다.

Created by potrace 1.15, written by Peter Selinger 2001-2017

토고숲모기

Tanakaius togoi

특징

토고숲모기 성충은 약4.5mm의 중형으로, 흉부의 순판에는 흑갈색 바탕에 금색 비늘로 된 종대가 중앙선에 두 줄 그리고 봉합선을 따라 아크형으로 두 줄이 나 있다.소순판에는 황백색 비늘이 있고 다리의 각 부절 기부와 말단에 흰 띠가있다.

생활사

유충은 적응 할 수 있는 염분 농도역이 매우 넓어 민물에서 바닷물까지 서식한다. 성충은 이른 봄부터 늦은 가을에 걸쳐 발생하는데 7월말 ~ 8월초까지 가장 많은 개체수가 발견된다. 낮 뿐만아니라 밤에 실내에 침입하여 전등아래서 흡혈을 한다.

저곡해충

생산물의 가공, 저장, 유통중에 발생하여 식량에 피해를 입히는 저곡해충은 전세계적으로 약 200여종이다.
아직까지 국내에 발견된 종은 비교적 많지 않으나 농산물의 수입과 유통의 발달로 점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저곡해충은 곡식과 식품사이로 잠입, 이동이 용이하도록 몸이 작게 적응되어 있으며,
강한 턱을 지녀 포장용기에 구멍을 뚫고 침입하기도 한다.

쌀바구미

Sitophilus oryzae

특징

몸의 형태는 가늘고 긴 것부터 편평한 것까지, 부드러운 것부터 거친 것까지 다양하다. 촉각(더듬이)은 11마디이나 간혹 10마디도 있다. 실 모양이나 염주모양, 약간 굽은 모양등의 여러가지이다.배는 5마디로 되어있고, 최초의 3마디는 서로 약간 달라붙어 있다.

생활사

년간 수회 발생하며, 최적의 환경에서 생활주기는 7 ~ 10주 이다. (3개월이상 걸리는 경우도 있다) 알은 갈색빛을 띠는 흰색이며 애벌레로 부화한다.일반적으로 7~8회 탈피한다.습기가 많을떄 번식이 왕성하며, 성충은 가끔 날기도 한다.

권연벌레

Lasioderma serricorne

특징

권연벌레의 성충은 긴 타원형으로 몸 길이는 2~4mm 정도이며 적갈색을 띠고 몸 표면은 황갈색의 부드러운 털로 덮혀있다. 머리는 작으며, 앞 가슴쪽으로 구부러져 있어 위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촉각은 톱니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갈색에 백색털이 많이 나있고 주광성으로 빨리 기어다닌다.

생활사

년 2~3회 발생하며 유충으로 원동한다. 곡물이나 포장물, 목재속에서 얇은 고치를 짓고 이듬해 4~5월에 월동한 유충이 번데기가 되어 5~6월에 1회 성충이 발생되며 6~9월에 2회, 9월 이후에 3회 발생한다.

화랑곡나방

Plodia interpunctella

특징

성충의 날개 편길이는 16~20mm정도로 날개를 지붕모양으로 접는다. 알은 유백색의 타원형이며 장경이 0.5mm정도로 작다. 유충은 어떠한 먹이를 섭취하여도 암적색의 알갱이의 배설물을 분지하여 많은양의 실을토해 고치를 짓는다. 번데기는 몸길이가 7mm내외로 가늘고 담갈색을 띈다.

생활사

알(5~10일) 유충(13~288일) 번데기(10~14일) 성충(12~30일), 성충의 수명은 평균 12일이지만 여름에는 짧고 9월에 발생한 것은 길다. 교미 1~2일후에 알을 낳기 시작하는데 첫날 산란수가 가장 많고 6~10일동안 평균 160개의알을 낳는다.알은 3~7일후에 후화하며 유충은 4~6회정도 탈피한다. 그리고 번데기기간은 약 1주일이다. 노숙유충이 되면 그속에서 나와 집을짓고 집이나, 창고, 파렛트, 평상등에 먼지와 똥을 철하여 고치를 짓고 그 속에서 번데기가 된다.

기타해충

기타 해충에 대한 정보입니다.

 

Scabies

특징

0.15~0.4 정도로 미세하여 원판 모양을 하고 있다.기문이 없는 무기문아목에 속하여 다리는 매우 짧은 형태로 다리의 부절에는 긴털이 나 있다.

생활사

앞에서 부화한 유층은 피부각질층 속으로 파고들어가 탈피주머니를 만들고 그 속에서 먹이를 섭취한다.약충은4~6일 정도 성장하여 성충이 되고 수컷이 암컷을 찾아와 교미를 한다. 암컷은 피부 터널 속에서 매일 4~5개씩 총 35~50개 정도를 산한하고 죽는다.알에서 성충까지 걸리는 시간은 대략 10~14일 정도된다.수명은 약 4주정도이다.

로취에이원

서울시 영등포구 영등포로 28길 5 코오롱주상복합 상가 2층 61, 62호
사업자등록번호 : 119 – 91 – 02810 
 Tel : 1599 – 1193

고객센터 1599-1193

주중 09~18시│공휴일 휴무

All Right Reserved ⓒ Roach119